해부학35 가자미근과 족저근 (Soleus, Plantaris) 조깅하는 사람들이 흔하게 뒤꿈치 통증을 호소하게 되는 근육인 가자미근과 족저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부학적 부착 가자미근의 근위부는 비골두의 후면과 비골의 후연 위에서 2/3, 경골 내측연의 위에서 2/3 및 이 두 뼈 사이에 펼쳐져 있는 tendinous arch에 부착합니다. 원위부에서 가자미근은 비복근과 합해져 아킬레스건을 형성합니다. 이 건의 가자미근 부분은 종골(calcaneus)의 내측 1/3에 부착합니다. 간혹 부가자미근이 가자미근의 추가적인 근복으로 나타나는데, 이 부가자미근은 발목 바로 위 아킬레스건의 앞쪽에서 발견되며 대부분 발목에서 내측 쪽에 주로 있습니다. 가자미근은 지근섬유(slow twitch type 1)가 우세한 짧은 근섬유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약하고 변이가 많은 족저근.. 2023. 4. 25. 고관절 내전근들 (Adductor muscle of hip) 고관절 내전근에 포함되는 네 가지 근육인 장내전근, 단내전근, 대내전근, 박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부학적 부착 장내전근과 단내전근, 대내전근의 2/3의 근위부 해부학적 부착은 골반의 하연에 부착하여, 치골지와 좌골조면까지의 좌골 지를 따라 부착합니다. 원위부에서, 이 세 근육은 소전자에서 시작하여 무릎의 약간 위에까지 이르는 대퇴골 후면을 따라 수직선상에 부착하고 있습니다. 이 세 내전근들은 앞은 장내전근으로, 뒤는 대내전근으로 하여 서로 겹쳐지고 있습니다. 대내전근의 나머지 1/3은 근위부는 좌골 조면 부위에, 원위부는 대퇴골 내과의 내전근 결절에 부착하고 있습니다. 박근은 대내전근 위에 놓여 있으며 대내전근의 ischiocondylar part보다 내측에서 골반에 부착하고 있습니다. 박.. 2023. 4. 23. 대퇴사두근, 넙다리 네갈래근(Quadriceps Femoris Group) 대퇴직근, 내측광근, 중간광근, 외측광근 4개의 근육을 모아 대퇴사두근이라 합니다. 대퇴직근은 두 관절을 지나는 수수께끼 출제자(two-jointed puzzler)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내측광근은 무릎을 불안정하게 하는 buckling knee muscle이라고도 불리고, 중간광근은 좌절자(frustrator), 외측광근은 슬개골을 고정시키는 근육(stuc patella muscle)이라고도 불립니다. 해부학적 부착 대퇴직근은 슬관절만을 지나가는 대퇴사두근의 세 광근과는 달리 고관절과 슬관절 모두를 지나갑니다. 대퇴직근의 근위부는 전하장골극 부위에서 골반에 부착하고 있습니다. 대퇴직근의 밑에 있는 중간광근은 대퇴골의 전외측 면의 넓은 부위에 부착하고 있습니다. 내측광근과 외측광근은 모두 대퇴골 축.. 2023. 4. 23. 슬와근, 오금근 (Popliteus) 무릎이 굽게 하는 말썽꾸러기(Bent-knee Troublemaker)라는 별명을 가진 슬와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부학적 부착 뒤에서 보면, 얇고 평편한 슬와근은 삼각형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무릎 뒤 슬와 원위부의 바닥을 형성한다. 근위부인 외측은 강한 tendon으로 대퇴골외과, 외측 반월연골이 포함되기도 하는 섬유로 된 슬관절 관절낭에 부착하며, 또 이 근육의 외면을 가로지르는 궁상슬와인대(arcuate popliteal ligament)로 식별되는 구조물을 경유하여 비골두에도 부착합니다. 다른 저자들은 이것은 왜곡된 견해이며 이 소위 인대(ligament)라고 불리는 것들은 실제로는 슬와근의 대퇴골, 비골 및 반월연골 기시부와 슬관절 후낭에서 나온 섬유들이 응축되어 이루어졌다고 보고 .. 2023. 4. 21. 이전 1 2 3 4 5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