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이어트 식단4

다이어트 건강한 지방 알고 먹자 지방은 비만의 주범이라는 이유로 비난의 대상이 되었지만, 탄수화물, 단백질에 비해 칼로리가 높고,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이 비만 관련 질병을 유발한다는 오해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이 비만 및 관련 질환, 심혈관계 질환의 주범인 것은 아니며, 지방의 축적 원인은 3대 영양소 어떤 것이든 과잉된 에너지가 저장되어 비만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이 몸에서 하는 역할을 알고, 지방이 어떻게 몸에서 대사 되는지 알아보면서 왜 오해를 얻게 되었는지 알게 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포화지방산, 불포화지방산, 콜레스테롤의 역할 인체는 약 30조 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이 모든 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세포막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방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세포막을 구성하는 지질 이중층의 .. 2023. 3. 9.
식단할 때 단백질, 보충제 고르는 기준, 팁 운동할 때 단백질 챙겨 먹으라고 하는데 대체 운동할 때 어떤 단백질 식품을 먹어야 하는지, 보충제는 왜 먹어야 하는지 모르셨다면 이 글로 단백질 고르는 기준 잡고 가실 수 있길 바라겠습니다! 맨 마지막에 총정리해 두었습니다! 단백질이 근육 합성 되는 조건 단백질은 몸을 구성하는 재료가 되는 역할이 크기 때문에 운동을 하고 근육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근육의 재료가 되는 데 필요한 아미노산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근육을 만들 때 단백질의 합성 과정은 단백질 합성의 신호가 왔을 때, 혈중 아미노산 농도가 유지되는 수준에 따라 근육 합성이 바뀌게 됩니다. 특정 단백질을 합성하려면 20가지 종류 중 필요한 양만큼의 개별 아미노산이 혈중 아미노산 농도에 맞게 들어있어야 합니다. 이때, 특정 아미노산이 부족.. 2023. 3. 7.
다이어트 식단 탄수화물 고르는 일상 꿀팁 체중 감량이 목표라면 양적인 요소를 1차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했었는데, 양적인 요소가 충족되었다면 그 안에서도 질적인 요소를 빼놓을 수 없죠. 저번 3대 영양소를 왜, 얼마나 먹어야 하는지 포스팅 한 이후 이번 포스팅은 3대 영양소 중 탄수화물의 질적인 요소를 고려할 수 있는 기준으로 가져왔습니다. 밥, 빵, 떡, 곡류, 채소, 과일, 설탕, 꿀, 과당 등이 탄수화물의 예시인데 이 친구들을 어떻게 먹어야 하는지! 원리를 알고 싶은 분들은 어렵지 않게 썼으니 글을 읽어주시고! 결론만 원하시는 분들은 맨 밑 실천 꿀팁을 참고해 주세요 :) GI 지수(혈당지수) 고려? 흔히 GI 지수를 고려해서 높은 GI지수의 음식은 피하고 저 GI 지수 음식을 먹어야 한다고 하는데 GI지수는 균형잡힌 식사에서 크게 신경 .. 2023. 3. 7.
일반식도 다이어트 가능한 과학적 이유 여러분이 생각하시는 '다이어트식단'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흔히 닭가슴살, 고구마, 샐러드, 과일, 견과류, 현미밥, 저염식, 양념 안 된 음식 등등을 생각하고 실제로도 많이 드시곤 합니다. 안 그래도 일상생활을 보낸다고 바쁜데,'어느 세월에 다 챙기고 있어 ㅠㅠ'라고 생각하신 분 계시다면오늘 포스팅이 다이어트에는 꼭 닭가슴살, 고구마, 야채만 먹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벗어나게 해드릴 겁니다! 여러분은 흔히 다이어트식이라고 하는 음식과 일반식이 몸으로 들어왔을 때 신체가 어떻게 다르게 반응하는지 궁금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 둘의 차이점은 무엇이길래 다이어트식이라고 부르는 걸까 음식 자체에 살이 빠지는 성분이라도 있는 걸까 생각하셨다면 오늘 글 집중해서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과연 다이어트식은 특별한 것일까.. 2023. 3.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