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비복근, 장딴지근 (Gastrocnemius)

by healthieter 2023. 4. 27.
반응형

일상에서 흔히 장딴지에 쥐 나는 근육으로 느껴보셨을 비복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부학적 부착

이 근육의 해부학적 부착은 근육이 두 관절(슬관절과 발목관절)을 걸쳐 지나가게 만듭니다. 근위부에서는 내 측두와 외측두가 떨어져서 대퇴골 원위부 후면에 부착하고 있고, 원위부에서는 이 양두의 근섬유들이 가자미 근과 합쳐지는 한 건막이 되어 아킬레스건을 형성합니다. 두 근육이 결합된 이 건은 종골 후면에 부착합니다. 비복근의 세 번째 두가 존재할 때에는 다양한 변위를 보이며 역시 대퇴골에 부착합니다.

 

신경지배

비복근의 양두는 경골신경(tibial nerve)의 분지에 의해 공급받는다. 이 신경섬유들은 S1과 S2 척추 분절에서 유래됩니다.

 

기능

이 근육의 기능은 보행 중 고정된 발 위의 하퇴의 전방 회전을 조절하는 작용에서 다른 장측 굴곡근들을 보조하고, 슬관절을 고정시키는 데에 관여합니다. 이 근육은 통상에서 벗어난 격렬한 발의 장측굴곡에서 작용합니다.

 

서있거나 걷는 동안 비복근은 소위 "reverse pull(역으로 당기기, 근위 분절을 당기는 것) 상태로 자주 기능합니다. 이 근육은 체중을 지탱하고 있는 자세에서 많은 시간을 lengthening contraction을 통해 기능합니다.

 

보행 시, 비복근을 포함하는 족저굴근들은 입각기 동안 종골(talus)에 대한 경골의 전방회전을 억제(조절)하고, 무릎 교정에 관여하며, 발목을 고정시키고 체중 중심의 수직 동요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작게 합니다. 통상 이들은 신체를 전방으로 추진하지 않으며, 비복근은 심지어 달리기 할 때조차 일반적으로 추진하는 힘이 없거나 아주 작습니다.

 

기능단위

비복근과 가자미근은 close-knit team(꽉 짜인 팀)을 형성합니다. 이들은 calaneus에 부착하는 동일한 아킬레스건을 공유합니다. 이들 두 근육 사이의 기능상 차이는 슬관절 굴곡과 관계있습니다. 무릎에서 비복근은 족저근, 박근, 봉공근, 슬와근과 마찬가지로 햄스트링을 도와 굴곡에 보조합니다. 발목에서 비복근과 가자미근은 primary plantar flexors입니다. 그러므로 이들은 족저근, 장, 단비골근, 장모지굴근, 장지굴근과 후경골근의 보조를 받습니다. 무릎에서의 비복근 길항근에는 대퇴사두근의 네 부분이 있고, 발목에서의 길항근에는 발가락을 신전시키는 근육들과 전경골근이 있습니다.

 

통증유발점

비복근 통증유발점에서 나오는 방사통은 동측 발의 instep(발바닥의 오목하게 들어간 부위)에서부터 발목의 후내측면과 장딴지와 무릎 뒤를 지나 하부 대퇴후부까지 확장되기도 합니다. 내 측두 내측연을 따라 근복의 위쪽에 있는 가장 흔한 TrPs인 통증유발점은 가장 광범위한 통증 패턴을 방사합니다. 비복근의 다른 세 통증유발점 부위는 통증유발점 주위에 보다
국소적으로 통증을 방사합니다.

 

내 측두의 근복에 있는 통증유발점 1과 범위가 조금 작기는 하지만 외측두 근복에 있는 통증유발점 2는 환자가 야간 장딴지 경련이 있을 때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보다 근위부에 있는 통증유발점인 통증유발점 3과 통증유발점 4는 보다 위쪽인 무릎 뒤에 통증을 방사합니다.

 

가장 흔한 통증유발점 1은 무릎에서 떨어져 비복근의 내 측두 내측연 근처에서 발생합니다. 이 통증유발 1은 주로 통증을 동측의 instep(발의 오목한 부위)에 방사하며 아래쪽 대퇴후부에서 무릎 뒤를 지나 하퇴의 후 내측면과 발목에 이르는 퍼지는 방사통 부위를 동반합니다.

 

그다음으로 흔한 통증유발점인 통증유발점 2는 약간 더 원위부에 있으며 외측두 근복의 외측연 근처에서 확인된다. 이 통증유발점 2는 나머지 비복근 통증유발점인 통증유발점 3, 통증유발점 4와 함께 모두 통증유발점 주위 가까운 곳에 국소적
으로 통증을 방사합니다. 통증유발점 3과 통증유발점 4 부위의 압통은 통증유발점 1이나 통증유발점 2를 동반하는 taut bands에 의해 야기된 musculotendinous tension에 의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무릎 뒤에 있는 이 두 통증유발점 부위(통증유발점 3과 통증유발점 4)는 보다 원위부의 두 통증유발점(통증유발점 1과 통증유발점 2)이 없을 때에도 둘 모두 독자적으로 촉진되는 taut bands 내에 통증유발점을 갖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들은 주로 슬와 내에 통증을 일으킵니다.

 

드물지만 비복근의 네 통증유발점이 모두 함께 발생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에는 원위부의 통증유발점 1과 통증유발점 2가 비활성화된 후, 환자는 통증유발점 3이나 통증유발점 4에 의해 야기된 무릎 뒤의 통증을 인식하게 됩니다. 통증유발점 1과 통증유발점 2는 모두 야간 장딴지 경련과 연관되는 경향이 있으며 나머지 두 근위부 통증유발점이 경련과 연관되는 경우는 드뭅니다. 간헐적 파행이 비복근 통증유발점 의해 현저하게 증가될 수도 있습니다.

증상

비복근 통증유발점과 관련된 증상은 통증유발점 1에서의 야간 장딴지 경련과 모든 활동성 통증유발점에 의해 유발되는 방사패턴 양상의 통증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