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이 굽게 하는 말썽꾸러기(Bent-knee Troublemaker)라는 별명을 가진 슬와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부학적 부착
뒤에서 보면, 얇고 평편한 슬와근은 삼각형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무릎 뒤 슬와 원위부의 바닥을 형성한다. 근위부인 외측은 강한 tendon으로 대퇴골외과, 외측 반월연골이 포함되기도 하는 섬유로 된 슬관절 관절낭에 부착하며, 또 이 근육의 외면을 가로지르는 궁상슬와인대(arcuate popliteal ligament)로 식별되는 구조물을 경유하여 비골두에도 부착합니다.
다른 저자들은 이것은 왜곡된 견해이며 이 소위 인대(ligament)라고 불리는 것들은 실제로는 슬와근의 대퇴골, 비골 및 반월연골 기시부와 슬관절 후낭에서 나온 섬유들이 응축되어 이루어졌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섬유들 모두는 함께 이 근육의 Y형 인대 부착부를 형성합니다. 근위부 tenden의 양면(both surface)에서 나온 거의 평행한 근섬유들이 밑으로 비스듬한 각도를 이루며 soleal line(가자미근선)에서 시작하여 뒤에 있는 경골의 삼각면 내측 2/3에 원위부 내측부착을 하고 있습니다.
세 번째 부착부위는 tenden을 슬관절의 lateral capsular ligament와 긴밀하게 연결시킵니다. 이 세 번째 부분은 외측 반월연골을 견인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Murthy에 따르면 15 사체 중 14구에서 외측 반월연골의 posterior horn(후각)의 상연에 건양섬유들(tendinous fibers)이 붙어 있었습니다. 의심할 것 없이, 이 반월연골 부착은 일부, 경우에 따라서는 많은 사람에서 중요합니다.
슬와근낭(Popliteus bursa)은 슬와근건을 비골두 바로 위 대퇴골 외과와 분리시킵니다. 이 점액낭은 대부분의 경우에서 슬관절 synovial membrane(활액막)의 연장입니다.
신경지배
슬와근은 경골신경(tibial nerve)에서 나온 섬유에 의해 공급받는데, 이 섬유는 후경골근으로 가는 신경의 분지에서 직접 나올 수도 있고, 간혹 슬관절로 가는 주신경에서 나온 분지일 수도 있습니다. 슬와근으로 가는 신경섬유는 L4, L5와 S1 척추신경에서 나옵니다.
기능
슬와근의 주된 기능은 체중지탱을 시작할 때 고정된 경골 위에 대퇴가 외회전함으로써 무릎이 “unlock(잠기지 않게)” 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사람이 굽힌 무릎에 체중을 싣고 쪼그려 앉을 때 이 근육의 활성이 경골에서 대퇴골이 전방 탈구되지 않게 해 줍니다.
슬와근은 직립하고 앉아 있을 때와 같이 대퇴가 고정되어 있고 하퇴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을 때 경골을 내측으로 회전시킵니다. 하퇴가 고정되어 체중을 지탱하고 있는 동안 이 근육은 슬관절이 “unlock(잠기지 않게)” 하기 위해 경골상에서 대퇴골을 외측으로 회전시킵니다.
이 근육과 이웃 근육들과의 기능적 관계는 주관절에서 pronator teres(원회외근)과 이웃 근육들과의 관계와 흡사합니다. 이들은 모두 사지의 원위부를 회전시키며 결코 single-muscle myofascial syndrome으로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슬와근은 체중을 감당하는 동안 대퇴골에 대한 경골의 외회전을 억제하는 힘이나 대퇴골이 tibial plateau에서 앞으로 탈구되는 것을 막는 힘이 필요할 때 활성을 나타내어 반응합니다.
이 근육의 수축은 특히 lateral femoral condyle이 lateral tibial plateau에서 앞으로 회전하면서 벗어나는 것을 막습니다.
기능단위
슬와근에 의한 하퇴의 내회전은 내측 함스트링 근육들에 의해 보조를 받으며 적기는 하지만 봉공근과 박근에 의해서도 보조를 받습니다. 비록 슬와근은 하퇴를 주로 외회전 시키는 근육인 뚜렷한 길항근을 갖고 있지는 않지만, 대퇴이두근이 이 방향으로 힘을 약간 제공합니다.
통증유발점
슬와근에 있는 통증유발점은 주로 슬관절 후부에 통증을 방사합니다. 환자에서 순수하게 슬와근 통증유발점으로만 기인된 무릎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는 드뭅니다. 처음에는 무릎 통증의 근원이 대부분의 경우에서 비복근이나 대퇴이두근과 같은 다른 근육에 있는 통증유발점에서 오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그러나 이 근육들에 있는 통증유발점을 비활성화시킨 후에도 통증이 있는 사람은 무릎 뒤 통증을 인식하게 되는데, 이때 검사자는 그 통증이 슬와근에서 기원함을 확인합니다.
증상
일반적으로 아픈 사람이 주소로 하는 주된 증상은 쪼그려 앉거나 달리거나 언덕을 걸어 내려가거나 계단을 내려갈 때의 무릎뒤 통증이다. 슬와근 근막 통증 증후군은 쉽게 슬와근건염으로 오진될 수 있습니다. 비슷하게 혼동을 줄 수 있는 다른 진단으로는 Baker's cyst, 슬관절의 전내측과 후외측 불안정, 슬와근건의 결출(avulsion)이 있습니다.
'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관절 내전근들 (Adductor muscle of hip) (0) | 2023.04.23 |
---|---|
대퇴사두근, 넙다리 네갈래근(Quadriceps Femoris Group) (0) | 2023.04.23 |
봉공근, 넙다리빗근 (Sartorius) (1) | 2023.04.21 |
대퇴근막장근, 넙다리근막긴장근 (Tensor fasciae latae) (0) | 2023.04.21 |
이상근, 짧은 외회전근들 (Piriformis and other lateral rotators) (0) | 2023.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