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근은 piriformis syndrome의 증상의 원인이 되며 또 이상근 통증유발점에서 통증을 방사하는 것과 마찬가지 정도로 신경올가미(nerve entrapment)에 의해서도 고통을 주기 때문에 “double devil"이라 불립니다.
이상근을 위주로 그 외 쌍자근, 대퇴방형근, 내, 외 폐쇄근 등 외회전근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부학적 부착
이상근은 내측으로는 주로 선골의 내측면에 부착하고 있다. 이상근은 대좌골공(greater sciatic foramen)을 통해 골반에서 빠져나오며, 외측으로는, 이상근의 건이 나머지 짧은 외회전근들의 건과 함께 대퇴골의 대전자에 부착합니다. 상⦁하 쌍자근과 대퇴방형근은 내측으로는 좌골(ischium)에 부착합니다. 내폐쇄근은 폐쇄막(obturator membrane)의 내측면과 폐쇄공 둘레(rim of the foramen)에 부착합니다. 외폐쇄근은 내측으로는 폐쇄막의 외측면과 폐쇄공 둘레에 부착합니다.
이상근은 대좌골공을 통하여 골반내부에서 외부로 빠져나옵니다. 이 견고한 구멍은 앞과 위는 장골의 후부로, 뒤는 sacrotuberous ligament로, 아래는 sacrospinous ligament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근육이 커져 이 공간을 채울 때, 이를 통해 골반을 빠져나오는 여러 신경과 혈관들이 압박받을 가능성이 커지게 됩니다.
고관절에서 대퇴를 외회전 시키는 다른 짧은 외회전 근들(넷으로 된 “GO GO" muscle (superior gemellus, obturator internus, inferior gemellus, and obturator externus)과 대퇴방형근)은 이상근의 아래쪽으로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상근과 마찬가지로 이들도 대둔근 밑 깊숙한 곳에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은 이상근과는 달리 좌골신경의 앞 쪽에 있습니다. 아픈 사람에서 이들 근육의 위치를 확인하려면, 이상근과 ”GO GO" 근육들 중 위의 세 개는 대전자 위 끝에서 부챗살 모양으로 퍼져나가는 부채꼴을 형성한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신경지배
이상근의 신경지배는 S1과 S2 선추신경에서 직접 이루어집니다. 외폐쇄근은 L3와 L4 척추신경에서 나온 폐쇄신경에 의해서 지원받습니다. 나머지 짧은 외회전근들은 L4~S3 척추신경에서 나온 motor nerves를 통하여 신경지배를 받습니다.
기능
체중을 감당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이상근의 기능은 주로 고관절이 신전된 상태에서 대퇴를 외회전 시키는 것입니다. 이상근은 고관절이 90˚ 굴곡되었을 때에는 외전 시키는 기능도 합니다. 나머지 다섯 짧은 심부의 회전근 들은 모든 자세에서 주로 외회전근으로 작용합니다. 체중을 감당하는 활동에서는, 이상근은 대퇴의 격렬한 또는 과다한 내회전을 견제합니다.
기능단위
이상근과 나머지 짧은 외회전근들은 대둔근과 함께 대퇴의 주된 외회전근으로 작용합니다. 이들은 대퇴이두근의 장두, 봉공근(sartorius), 중둔근의 후부섬유에 의하여 보조를 받으며, 때에 따라서는 소둔근의 후부 섬유에 의하여, 또 장요근(iliopsoas)에 의하여 도움을 받게 되는데, 마지막 것은 유아에서 특히 나타납니다. 대퇴의 내회전을 일으키는 길항근들(antagonists)은 다른 기능들을 결합하며 비교적 약한 회전근들로, 이름은 반막양근, 반건양근, 근막장근, 치골근, 중둔근과 소둔근의 전면 섬유들입니다. 이런 관점에서 내전근들의 역할은 논쟁의 여지가 있으나, EMG 연구는 장내전근과 대내전근은 고관절에서 대퇴의 내회전 동안에는 활성을 나타내나 외회전 동안에는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통증유발점
이상근에 있는 통증유발점으로 부터의 방사통은 천장관절부로 방사되기도 하며, 외측으로는 둔부 중앙을 넘어 고관절 후부와 대퇴 후부의 근위부 2/3에 방사됩니다. 나머지 다섯 개의 짧은 고관절 외회전근들의 통증패턴은 이상근 통증패턴과 다르지 않습니다.
증상
이상근 증후군의 증상은 근육 내에 있는 통증유발점에서 통증이 방사되어 일어날 수도 있고, 대좌골공 테두리와 근육 사이에서 신경과 혈관이 압박되는 것에 의할 수도 있으며, 천장관절 장애에 의할 수도 있습니다. 통증은 앉거나, 서거나, 걷는 것에 의하여 증가되는 요부, 둔부 및 대퇴 후부의 통증입니다.
다음 세 특정한 상태가 이상근 증후군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a) 이상근에 있는 통증유발점에서 방사되는 근막 통증
(b) 대좌골공에서 이상근에 의한 신경과 혈관의 entrapment
(c) 천장관절의 기능이상
'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공근, 넙다리빗근 (Sartorius) (1) | 2023.04.21 |
---|---|
대퇴근막장근, 넙다리근막긴장근 (Tensor fasciae latae) (0) | 2023.04.21 |
장요근, 엉덩허리근 (Iliopsoas) (0) | 2023.04.21 |
소둔근, 작은 볼기근 (Glueteus minimus) (0) | 2023.04.20 |
중둔근, 중간볼기근 (Gluteus medius) (0) | 2023.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