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대원근, 큰원근(Teres major)

by healthieter 2023. 4. 6.
반응형

저번에 소원근에 대한 포스팅을 했는데, 바로 위아래 사이로 붙어있지만 기능은 전혀 다른 대원근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해부학적 부착

위로 posterior axillary fold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해 대원근을 중심으로 180도 비틀리는 광배근과 합쳐져 위팔뼈에 부착합니다. 밑으로 대원근은 어깨뼈에 부착하고, 반면에 광배근은 흉벽에 부착합니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면, 대원근은 내측으로는 어깨뼈 하각 근처 배면에 난원형 부위에, 또 소원근 및 극하근과 공유하는 섬유성 중격(fibrous septa)에 부착됩니다. 외측으로는 짧은 건으로 상완골 소결절능에 부착합니다. 대원근과 광배근 건의 경계는 그들의 부착부위에서 섞입니다.

 

신경지배

대원근은 C5와 C6척수에서 나와 후척수(posterior cord)를 경유한 하 견갑상신경(lower scapular nerve)에 의해 지배됩니다.

 

기능

대원근은 내회전을 보조하고, 저항을 받는 내전이나 굴곡된 자세에서 위팔을 신전시킬 대 활성을 나타냅니다. 대원근은 도끼질하는 동작에서 광배근을 보조합니다. 근전도 연구에서는 이 근육 단독으로 활성을 나타낼 경우 몸 옆에 있는 위팔을 단지 약하게 내전 시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나 견갑골이 견갑거근과 능형근에 의해 하각이 고정되었을 때에는, 대원근 활성은 위팔을 강하게 내전 시킵니다.

 

초기의 보고들은 대원근이 위팔을 움직이는 동안에는 활성이 결코 존재하지 않으나, 정적자세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때에만 작용하게 된다고 단호하게 언급하였습니다. 대원근이 저항을 받는 상황에 국한되긴 하지만 위팔이 내전 되거나 신전되어 있을 때 근전도적으로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입증할 때까진 사실로 받아 들어져 왔었습니다. 대원근은 보행 시 팔을 뒤로 흔들 때에도 활성화됩니다.

 

타이핑을 하는 것에 대한 근전도 연구에서 대원근은 중증도의 활성을 일으켰고, 한 개의 타이프라이터 키를 두드리는 것은 대부분의 대상에서 중증도의 활성을 일으켰으며, 피로 상태에서는 활성이 현저하게 증가되었습니다. 타이프라이터 타자판을 높이를 높이는 것은 대원근 motor unit 활성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았습니다.

 

기능 단위

위팔의 신전과 내회전시 광배근과 상완 삼두근의 장두는 대원근과 근막 unit을 형성합니다. 이 그뉵들은 보통 함께 통증유발점이 발생합니다. 대원근과 광배근은 상완골의 공동 부착부위 내에서 끝나도록 서로 엉켜 있습니다. 대원근과 삼두근 장구는 같은 뼈에 상호적 spurt/shunt 지렛대 힘으로 부착되고 있습니다. 대원근은 상완근에 근위부로 부착하며, 반면에 삼두근의 장두는 대원근보다 아래쪽으로 위팔뼈에 원위부로 부착합니다.

 

통증유발점

대원근에서는 두 위치에서의 통증유발점이 발생합니다. 하나는 내측으로 어깨뼈 후면 위에 있고, 또 하나는 보다 외측으로 광배근이 대원근을 감싸고 있는 곳인 posterior axillary fold 내에 위치합니다. 두 통증유발점 부위 모두 후삼각근부위(posterior deltoid region)와 상완 삼두근 장두에 통증을 방사합니다. 대원근 통증유발점은 견관절 내에 뒤로 통증을 방사하고 간혹 전완의 배 측에도 방사하나 견갑골이나 팔꿈치로 방사되는 경우는 아주 드뭅니다.

증상

동작시의 통증이 주소증이며, 특히 파워핸들이 달려있지 않은 무거운 차를 운전할 때 일어납니다. 간혹 테니스 서브를 넣을 때와 같이 팔을 위로 뻗을 때 통증이 일어납니다. 안정 시 통증은 대부분 가볍습니다. 통증유발점이 있는 사람들은 상완을 머리 위로 올리는 동작에서의 약간이 제한을 인식하지 못한 채로 이를 보정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