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전거근, 앞톱니근(serratus anterior)

by healthieter 2023. 4. 7.
반응형

많은 역할을 하고, 익상견갑과 연관이 깊은 전거근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해부학적 부착

전거근의 근섬유들은 세 그룹으로 구분됩니다.

 앞으로 제2 늑골(간혹 제2 늑골)에 부착하고 있는 톱니는 뒤로 견갑골 상각(superior angle)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근섬유다발은 밑에 있는 늑골과 거의 평행하게 위치합니다.

다음 두 번째 톱니는 앞으로는 두 번째에서 세 번째 늑골에 연결되고 뒤로는 견갑골의 척추모서리(vertebral border)의 전 길이를 따라 부착하며 평평한 막을 형성합니다. 이 섬유들은 늑골과 거의 45도 각도로 가로지르며 늑골들에 대항하여 위치합니다.

세 번째 그룹은, 앞으로는 그다음 다섯 또는 여섯 개의 늑골들에 부착한 톱니로, 뒤로는 견갑골의 하각(inferior angle)으로 모입니다. 이 가장 밑에 있는 톱니는 액와 중심선을 따라 통증유발점을 발생시킵니다. 하부 늑골에 부착하고 있는 근섬유들은 앞으로 복부의 외복사근의 늑골 부착부위와 상호 관여합니다.

 

신경지배

전거근은 C4, C4, C7과 간혹 C8 척추신경의 앞쪽가지(anterior rami)로부터 직접 나오는 Bell의 장흉신경에 의해 공급됩니다. 전거근의 상부 섬유들은 주로 C5에 의해서 지배되고 중부는 주로 C5와 C6에 의하여, 하부는 주로 C4와 C7에 의하여 지배됩니다.

The nerve of bell은 전거근보다 천층에 놓여있으며, line of the anterior axillary fold 내에 통상적인 통증유발ㅈㅓㅁ 위치보다 앞쪽으로 위치합니다.

 

기능

전거근 전체로 가는 장흉신경에 대한 자극은 어깨뼈를 위로, 외측으로, 앞으로 움직이게 합니다. 장흉신경에 대한 손상은 전거근의 마비를 일으키고, 이는 어깨뼈의 익상화를 초래합니다. 전거근의 기능으로 보고된 8가지 기능 중 5가지는 근전도에 의하여 입증되었습니다.

1. 전거근은 우팔의 굴곡과 외전을 보조합니다. 이 근육의 most caudal fiber의 수축은 glenoid fossa가 위를 향하도록 어깨뼈를 회전시킵니다. 자극을 받으면, 이 섬유들은 처음부터 견갑골의 하각을 중상부 각을 중심으로 회전시킵니다.

 

전거근은 부하가 걸리지 않은 위팔의 거상에서 30도에 이를 때까지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승모근 중부, 능형근과 대흉근의 상부 1/2은 초기의 힘을 제공합니다. 전거근의 lower trianguler group은 위팔을 굴곡시키는 동안 승모근 중부 섬유들보다 근전도에서 더 활성을 나타내고, 위팔을 외전 시키는 동안에는 이와 반대가 됩니다.

 

2. 전거근은 사람이 물체를 앞으로 미는 힘을 발휘할 때 등에서 어깨뼈를 전인합니다. 이것은 oblique lateral motion으로도 기술되고 있습니다.

 

3. 전거근은 어깨뼈를 거상 합니다. 가장 낮은 섬유에 대한 장시간의 자극은 결과적으로 모든 견갑골의 강력한 거상을 일으키나, 전거근이 견갑골의 하각을 전외측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전거근에 의해 능형근과 견갑거근이 처음으로 스트레치 될 때까지는 견갑골의 거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middle portion만에 대한 자극은 견봉을 거상 합니다. middle portion은 견갑골의 거상에 관여하고 위팔이 거상 됨에 따라 활성도가 점증합니다.

 

4. 전거근은 어깨뼈의 안쪽 모서리를 흉곽을 향하여 단단하게 잡아둡니다.

 

5. 전거근은 팔 굽혀 펴기를 하는 동안 흉곽을 받칩니다.

 

6. 비록 직접 자극과 근전도가 모두 주장을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지만, 최하부 섬유들은 견갑골을 하인 한다고 여겨집니다.

 

7. 전거근은 강력한 흡기를 보조하도록 기능한다고 보고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흡기 기능은 정상 대상들에서의 많은 근전도 연구에 의해 강하게 반박되고 있습니다.

 

8. 전거근의 전기적 활성은 처음에 보고된 바와 같이 견갑대를 지지하는데 필요하지 않습니다.

 

기능 단위

견갑골 전인에 함께 작용하는 협력근들에는 소흉근과 대흉근의 상부 섬유가 포함됩니다. 전거근은 glenoid fossa의 거상에 있어서 승모근 상부를 보조합니다.

전인은 광배근의 motor horizontal fiber, 능형근, 승모근 중부에 의하여 길항작용을 받습니다. glenoid elevation은 광배근의 more vertical fibers, 대흉근에 의하여 길항작용을 받습니다.

 

통증유발점

전거근의 방사통은 흉부의 측면과 후면 및 간혹 밑으로 팔의 척골 측 면에 방사됩니다.

통증유발점에서 방사되는 통증은 중부 흉부에서 전외방과 배면에 따라 떨어진 부위인 견갑골 하각에 집중됩니다. 또 통증은 밑으로 팔로 방사되어 손바닥과 약지까지 확장되기도 합니다.

일부는 전거근에 있는 통증유발점은 비정상적인 젖가슴 감수성에 관여하기도 하는데, 대부분 이 breast symptom의 원인이 되는 대흉근에 있는 통증유발점에 추가로 관여해서입니다.

증상

전거근 통증유발점에서 오는 흉통은 심한 경우에는 안정 시에도 나타나기도 합니다. 통증유발점의 hyperirritability가 덜 심할 때는, 통증이 심호흡에 의하여 촉진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면 달리기 하는 동안의 겨드랑이 조임(stich-in-the-side)이 있습니다. 유사한 통증이 외복사근에 있는 통증유발점에서도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달리기 하는 사람은 달리기를 계속하여 통증을 완화하기 위하여 통증이 있는 부위를 압박하거나 손으로 꽉 쥐기도 합니다. 통증이 있는 사람들은 잠자리에서 안락한 자세를 찾기가 어려우며, 종종 병변 근육을 깔고 누울 수가 없습니다.

이 근막 증후군이 있는 사람들은 자신들은 숨이 가쁘다, 혹은 심호흡을 하면 아프기 때문에 할 수 없다고 호소하기도 합니다. 그들은 도중에 숨을 쉬지 않고는 통상적인 문장을 마칠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통증이 있는 사람들은 전화로 통화할 때 이 특이한 괴로움을 발견합니다. 호흡곤란으로 인해 심폐기능 검사를 받지만, 원인은 제한된 흉곽 확장으로 기인된 환기량 감소입니다.

전거근 통증유발점은 심근경색과 관련된 통증에 관여할 수 있습니다. 이 통증은 좌측의 대흉근과 전거근 통증유발점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으로 해소되고 있습니다.

견관절에서의 통상적인 가동범위 검사에 의하여 통증이 악화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견갑골을 전인 하려는 강한 노력에서 통증이 초래될 수는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