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대흉근, 큰 가슴근(pectoralis major)

by healthieter 2023. 3. 20.
반응형

대흉근은 양쪽 가슴 가장 표면에 위치하는 부채모양의 두꺼운 근육입니다.
일명 갑빠로 남성분들이 넓은 상체를 만들 때,
키우고 싶어 하는 근육이기도 합니다.


복장뼈(흉골, sternum)와 빗장뼈(쇄골, clavicle), 배바깥빗근(외복사근, external oblique)가 이는 곳이며
위팔뼈의 두 갈래 근 고랑이 닿는 곳입니다.

대흉근이 하는 기능으로는

상완골(위팔뼈)의 굴곡(flexion), 내전(adduction), 내회전(internal rotation)이 있고
어깨뼈의 내림(depression)과 벌림(abduction)이 있습니다.
 
내전시에 근전도상으로는 오직 흉골늑골부만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모든 근섬유들은 견갑골의 강력한 내밈을 보조합니다.
 
쇄골 위치는 동작이 위팔을 몸 옆에 두고 시작할 때, 어깨 관절에서의 굴곡을 보조하며,
가슴을 가로질러 반대쪽 귀를 향하여 상완을 끌어당기고,
어깨 선상의 수평보다 올라간 상태에서 외전을 보조합니다.
근전도에서는 굴곡 전체에 걸쳐 주로 쇄골 위치 섬유들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흉골부 섬유들이 일부 보조합니다.
흉골부와 늑골부위, 복근부위 섬유들은
위팔을 펴게 하지만, 과하게 펴지지는 않게 합니다.
보조를 받지 못한 대흉근은 손이 반대쪽 귀에 닿게
가슴을 가로질러 위팔을 이동시키지 못하고,
반대쪽 가슴에 도달할 정도만 이동시킵니다.
 

기능적 단위

대흉근의 모든 부분에서는 상완을 내전 하는 동안 강하게 힘을 주면 대소원근, 전후 삼각근, 견갑하근, 삼각근의 장두에 의해 보조를 받으며 함께 수축합니다.
견갑골의 내밈에 대해서는 전거근과 소흉근, 쇄골하근이 쇄골부 이하의 대흉근을 도와줍니다.
 
수직 아래에 있는 대흉근 늑골부와 복근부 섬유들은
광배근과 승모근 하부, 전거근 하부 섬유들의 도움을 받으며 어깨를 낮춥니다.
이 낮은 위치의 대흉근 섬유들은 쇄골 하근과 소흉근에 의해서도 보조를 받는데,
양쪽 팔을 함께 강하게 안쪽 돌림하는 동안 대흉근은 양쪽 모두 수축됩니다.
 
대흉근 쇄골부에 대한 주된 길항근들로는 능형근과 승모근 중부가 있고,
어깨관절에서 상완의 내전에 대한 길항근들로는 극상근과 삼각근이 있습니다.
 

지배하는 신경으로는

medial과 lateral pectoral nerve에 의해 신경 지배를 받습니다.
lateral pectoral nerve는 경추신경 C5-C7에 의해 나오는데,
이 신경은 상완신경총의 lateral cord나 바로 위에서 분지 되어
대흉근의 쇄골부와 흉골부에 영향을 미칩니다.
 
medial pectoral nerve는 C8과 T1척추 신경에서 나오는데 
상완신경총의 medial cord를 경유하여
늑골부 및 복근부에 영향을 미칩니다.
 
대흉근의 통증유발점이 있는 방사통 지점은
복장뼈(흉골) 밑, 앞쪽 흉골과 한쪽 가슴근육의 중간까지 포함되기도 하고,
팔의 척골 측(새끼손가락 방향)으로 네다섯 번째 손가락 밑까지 퍼지기도 합니다.
좌측 대흉근 통증유발점이 있을 때, 허혈성 심장질환에서 오는 통증으로 오진되기 쉽습니다.
(심장질환 병력이나 증상이 있는 사람들한테 관상동맥 허혈성 통증과
혼동될 정도로 비슷한 가슴 통증을 방사한다고 합니다.)

대흉근은 다섯 군데 부위에서 통증유발점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각각은 구별되는 통증 방사 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
 
쇄골부위에 위치하는 통증유발점은 삼각근 앞 부위와 국소적인 대흉근 자체의 쇄골부 통증을 방사합니다.
중간 흉골부위에 있는 통증유발점은 팔의 내측에 격렬한 통증을 방사하는 경향이 있는데,
팔의 통증은 상완골 내측 상과에 두드러집니다.
이 통증유발점은 전완의 손바닥 측과 손의 척골 측에도 통증을 방사합니다.
대흉근의 늑골부와 복근부위에서는 근육의 외측연을 따라 통증유발점이 위치합니다.
이 통증유발점은 유두의 과민성이 있으며,
종종 옷이 스치는 자극에도 심해지는 젖가슴 통증을 일으킵니다.
남녀 모두에서 증상이 있을 수 있지만, 여성에게서 더 많이 나타납니다.
 
통증유발점이 있는 환자는 어깨의 앞쪽과 쇄골 아래쪽의 통증 외에도 어깨 관절에서 팔 벌리기가 제한되기도 합니다.
대흉근의 중앙부에 있는 통증유발점이 왼쪽일 경우 협심증으로 쉽게 오진될 수 있으며
흉부 압박감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야간에 통증이 나타나 수면을 종종 방해하기도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