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승모근, 등세모근(Trapezius)

by healthieter 2023. 3. 26.
반응형

승모근은 옷걸이라는 별명을 가진 근육으로

흔히 어깨가 아플 때 손으로 주무르는 근육입니다.

 

승모근은 상부, 중부, 하부 세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상부, 중부, 하부 근 섬유들은 독립적으로 기능할 수 있습니다.

 

해부학적 부착

몸의 중심부 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쌍을 이루는 승모근은

다이아몬드 모양을 형성하는데,

중아선 상에서는 후두골에서 T12까지 뻗어있고,

외측은 앞으로 쇄골과 견봉, 뒤로는 견갑극까지 도달합니다.

 

양쪽의 승모근 상부 근섬유들을 하나로 보면

옷걸이 같은 모양을 띄고 있어 옷걸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습니다.

 

상부 섬유

상부근섬유들은 위로는 후두부 쪽인 위목덜미선의 안쪽 1/3에 부착하고

중앙선사에서는 항인대와 C1에서 C5까지의 경추의 극돌기에 부착합니다.

또한 바깥, 앞쪽으로도 분포하여 쇄골의 바깥쪽 1/3까지 부착합니다.

 

중부 섬유

중부 섬유들은 내측으로 C5에서 T3까지 극돌기와 극간인대에 부착하고,

외측으로는 견봉과 견갑극의 상순에 부착합니다.

 

하부 섬유

하부 섬유들은 내측으로 T4에서 T12까지 극돌기와 극간인대에 부착합니다.

외측으로는 위로 올라가 견갑거근의 아래 부착부위 바로 외측으로

견갑극 내측 끝에 있는 결절에 붙습니다.

 

신경지배

승모근의 운동 신경 지배는 제11 뇌신경(spinal accessory nerve)의 spinal portion에 의해 공급됩니다.

승모근부로 가는 motor nerve는 대부분의 경우

처음 다섯 경추 분절의 ventral roots에서 나오며 척추관 내에서 분지 됩니다.

신경총은 주로 C2, C3와 C4 경추 신경에서 나온 감각신경섬유가 합쳐져

승모근의 운동과 감각 신경지배를 모두 담당합니다.

 

기능

승모근 근육 전체가 일측으로 작용할 때,

승모근은 관절 와가 위를 바라보게 견갑골을 회전시키고,

견갑골을 거상하고 후인하며, 턱이 반대쪽으로 회전하게 하면서

머리와 목을 신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승모근 상부의 기능은

일측으로 작용할 때, 주로 어깨를 거상 시키고

목과 머리를 같은 쪽으로 측굴시키며

반대쪽으로 머리와 목을 극도로 회전시킬 때 보조작용을 합니다.

이 부위는 대부분 서 있는 동안 상지의 무게를 감당하거나

손으로 매달려 있을 때 체중을 지탱하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상부는 관절 와가 위로 향하도록 어깨뼈를 회전시키는 데에 필요한 힘을 제공합니다.

 

양측으로 작용할 때에는 승모근 상부의 근섬유들이

머리와 목을 신전시키기도 하는데,

이것은 대항력이 존재할 때만 일어납니다.

 

승모근 중부는 견갑골을 내전 시켜 강하게 후인 되게 합니다.

이들은 어깨관절에서 팔의 굴곡과 외전(특히 최대 범위 근처)에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데,

관절 와가 위를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어깨뼈를 회전시키는 것을 돕습니다.

 

승모근 하부는 어깨뼈 내측연을 아래로 당겨 견갑골을 후인하고

승모근 상부가 관절 와가 위를 향하게 견갑골을 회전시키는 것을 보조합니다.

이 섬유들은 팔의 굴곡과 외전에도 도움을 줍니다.

 

기능단위

반대편 승모근은 머리, 목 혹은 흉추의 신전에 대한 협력근이며,

상지의 대칭적인 활동을 하는 동안도 협력근으로 기능합니다.

 

승모근 상부는 일부 머리와 목의 동작에서 흉쇄유돌근과 협력근으로 작용합니다.

이 근육은 견갑골을 회전시킬 때 견갑거근과 전거근에 길항근이 됩니다.

팔을 외전 시킬 때 승모근에 의한 어깨뼈의 회전은

극상근과 삼각근에 의한 GH 움직임과 협력적으로 작용하여

견갑상완 리듬을 만들어 냅니다.

 

승모근 중부는 수평에 가까운 근섬유들로

어깨뼈를 후인하는 데에서 대소능형근과 협력적으로 작용합니다.

또, 어깨뼈를 고정시키는 작용으로 이 근섬유는 어깨뼈에서 팔을 굴곡시키는 데에

삼각근, 극상근, 상완이두근의 장두를 보조합니다.

 

승모근 하부는 어깨뼈의 관절 와를 위로 향하게 회전시키는 데에

전거근의 하부 섬유와 함께 작용합니다.

이 기능은 상완 외전근인 극상근, 삼각근과 협력적으로 작용합니다.

통증유발점

승모근 상부에 있는 통증유발점은 목의 후외측 면을 따라 귀 뒤와 관자놀이까지 특징적으로 통증을 방사합니다.

승모근 하부에 있는 통증 유발점은 주로 목, 견갑골 상부, 양쪽 견갑골 사이 부위에 통증을 방사합니다.

덜 흔한 승모근 중부의 통증유발점은 통증을 척추와 견갑골 사이 부위에 방사합니다.

 

통증유발점의 순서는 빈도 순서로 번호가 매겨져 있습니다.

증상

증상은 주로 특징적인 패턴으로 방사되는 통증이며,

약간의 약화나 운동제한을 동반합니다.

 

승모근 상부는 두 군데에서 통증유발점이 존재합니다.

첫 번째 부위에서는 목의 후외측의 심한 통증을 가지고 있으며,

종종 같은 쪽의 측두통을 동반합니다.

때로는 통증이 턱의 각진 부위까지 방사됩니다.

경추 신경근병이나 비전형적인 안면신경통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오진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두 번째 부위에서는 첫 번째 부위와 유사한 목의 통증은 일으키나 두통은 일으키지 않습니다.

두 번째 부위 단독으로 통증이 있는 경우 단지 능동적으로 머리와 목이 반대쪽으로 거의 최대로 회전된 상태에서만 일어납니다.

두 번째 부위와 견갑거근 혹은 경판 상근에도 추가적인 증상이 있을 경우 급성 stiff neck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것은 승모근 상부를 스트레치 시키는 같은 쪽 머리 회전도 제한합니다.

 

이 두 위치가 같이 통증유발점이 있다면 무거운 옷의 무게를 견딜 수 없게 만들기도 하는데,

이는 옷의 무게가 견봉 돌기에 실리지 않고 목의 뒤나 목과 어깨의 각을 이루는 부위에서 승모근을 압박하도록 잘못 맞춘 무거운 코트를 입는 것과 같습니다.

 

 

중부 섬유는 세 군데에 통증유발점이 존재하는데,

첫 번째 부위는 견갑골간 작열통을 호소하게 만들며,

 

두 번째는 견봉상에 통증과 압통을 방사하여, 무거운 배낭이나 어깨끈에 가해지는 압박을 견디지 못하게 만듭니다.

 

세 번째는 같은 쪽 팔과 가끔 같은 쪽 대퇴의 전외측 면에서 소름을 동반하는 기분 나쁜 느낌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이 방사 자율신경에 의해 일어난 느낌은 백목이나 손톱으로 칠판을 긁을 때 척추에 오싹함을 느끼는 것과 비슷하다고 묘사됩니다.

 

승모근 하부에는 두 군데의 통증유발점이 존재하는데,

견갑골 위, 견갑골 간, 견봉과 혹은 목의 통증을 일으키며 목 움직임의 제한은 있더라도 아주 적습니다.

종종 승모근 상부와 기타 어깨, 목의 근육에 있는 통증유발점을 제거한 후에도 지속되는 상부배와 목의 통증의 원인이 되는 joker역할을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