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와 넓은 상체를 만들고 싶은 분들이 열심히 운동하는 부위입니다.
몸의 앞면과 옆면, 뒷면 모두에서 관찰 가능한 만큼 넓고 둥글게 붙어있는 근육입니다.
해부학적 부착
삼각근은 위로 쇄골, 견봉, 견갑극에 붙고
아래는 위팔의 삼각근 융기(deltoid prominence)에 부착합니다.
몸의 근위부에서 볼 때,
삼각근 앞부분의 1/3은 쇄골 바깥쪽 1/3에 부착하고
중간 부분은 견봉에 붙으며,
뒤쪽 부위는 견갑극의 바깥쪽 부분에 부착합니다.
몸의 원위부는,
모든 근섬유들이 위팔뼈 바깥쪽 중간점 부근에서
합쳐져서 위팔뼈 삼각근 융기에 붙습니다.
모든 사람들에게서, 이 지점은
근육의 부불어보이는 모양으로 형성된 "v"모양처럼
피부에 움푹 파인 모양으로 나타납니다.
삼각근의 앞부분과 뒷부분은 부착부위 사이를 직접 가로지르는
긴 모양의 근섬유 다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간 부분은 쌍익상(bipenniform)의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신경지배
삼각근은 C5, C6 신경근에서 나와 뒤척수(posterior cord)를
경유한 액와신경에 의해 지배됩니다.
기능
상완골두를 덮고 있는 얕은 층 근육의 전면부의 기능은
수평적 굴곡과 신전에서 후면부와 길항적으로 작용합니다.
중간 섬유와 함께 앞, 뒤 근섬유들은 극상근을 도와
어깨관절에서 위팔뼈를 외전 시킵니다.
한 때 사람들은 삼각근이 어깨관절에서 외전을 일어나게 하고
극상근이 이를 완성한다고 생각했었으나
외전의 전체에 걸쳐 삼각근과 극상근의 전기 활성도가
모두 점진적으로 증가합니다.
위팔이 90도와 180도 사이에서 들어 올려지고 있을 때
두 근육 모두에서 전기활성도가 가장 큽니다.
어깨 관절의 위팔의 외전은 GH joint와 어깨뼈 회전이
일정하게 2:1 비율로 부드럽게 조화되면서 진행합니다.
이 기전은 견갑상완리듬이라고 불리는데,
극상근이나 삼각근 중 어느 하나의 마비는
단순히 외전력과 내구력을 감소시킵니다.
그러나 삼각근에 통증유발점이 있는 경우에는
근력에서 심한 손상을 나타내기도 하고,
혹은 근육에 병변이 있는 부분에 부하를 거는 위팔의 자세에서
90도 외전에 도달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앞, 중간, 뒷 섬유를 동시에 수축하면 상완을 외전 시킵니다.
전면과 후면의 가장 밑에 있는 근섬유들은 위팔을 내전 시킵니다.
근전도 연구에서는 삼각근 전면부는 위팔을 앞으로 굴곡시킨다고 확인됐습니다.
또한 위팔을 가슴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굴곡시키고,
근육의 부착부위는 위팔을 내회전 시킬 것처럼 생겼지만 되지 않으며
근전도 연구자들에 의해서도 의문시되고 있습니다.
(살아있는 유기체에 대한 협응을 이해할 때는
근전도 연구를 항상 맹신할 필요는 없습니다.)
손을 얼굴로 올리는 동작은 삼각근 앞부분과 전거근의 적합한 기능이 요구되는데,
이 둘 모두 견갑상완 리듬에 관여합니다.
삼각근의 중간 섬유는 구조적으로 외전에 최적으로 생겼으며,
외전을 하는 동안 근전도에서 강하게 반응합니다.
후면 부위는 위팔을 신전시킵니다.
이 기능은 엉덩이 아래로 손을 뻗는데 핵심 요소입니다.
해부학적으로, 이 후면 부위는 외회전 시킬 것으로 보이나,
마찬가지로 근전도적으로는 뒷받침되지 않습니다.
늘어진 상지로 무거운 물체를 운반하게 될 때
삼각근의 뒷 섬유에서 수직방향으로의 전기적 활성이 증가하고
관절강 내에 상완골두를 잡아두는 데에 있어 근섬유의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삼각근과 극상근의 수축은 GH joint에서 위팔뼈의 하방 탈구를 막기 위하여
상완 골두를 하관절순 경사면에 대항하여 위로 고정하는 것을 돕습니다.
타자 자판 치는 위치를 높이는 것은 삼각근에 지속적인 전기적 활성을 상승시킵니다.
삼각근에 걸리는 활성은 작업대 높이가 너무 높거나 낮을 때 상승합니다.
운전대의 꼭대기에 손을 높고 운전하는 것은 주로 삼각근 앞면부위를,
그다음으로 중간 부위를 활성화시킵니다. 운전자가 운전대를 반대쪽으로 돌릴 때,
즉 수평 굴곡 시 활성이 발생하였고, 삼각견 후면부위는 활성화되는 경우가 드뭅니다.
기능 단위
삼각근 전면부위의 협력근으로는
대흉근의 쇄골부, 상완 이두근의 장두와 오훼완근이 있습니다.
이들은 하나의 근 신장 단위로 통상 함께 병변이 발생합니다.
소흉근도 삼각근 전면부위에 있는 통증유발점과 연관되어 발생하기도 합니다.
후면부위는 광배근과 대원근, 상완삼두근의 장두와 협력근으로 작용합니다.
삼각근 뒷면이 최대로 외회전 된 상태에서만 평행한 배열을 하는 소원근 섬유는
연관돼서 통증유발점이 발생하는 경향이 적습니다.
통상적으로 전면 부위와 후면부위는 길항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들은 함께 활동성 통증유발점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통증유발점
삼각근은 근막 통증 유발점이 가장 자주 발생하는 근육들 중 하나이고,
삼각근에 있는 통증 유발점 방사통은 국소적으로 방사됩니다.
(다른 근육들은 먼 곳까지 방사통이 생기는 것과는 다릅니다.)
전면과 중간, 후면 부위에 통증 유발점이 각각 존재하는데,
앞쪽에서 과민한 지점이 나타날 때
전면과 중간 부위에도 방사할 수 있고,
후면 부위가 통증유발점이 있을 때 후면과 중간 부위에도 통증이 방사됩니다.
간혹 인접한 위팔 부분에 확장되기도 합니다.
증상
삼각근이 아픈 사람은 삼각근 깊숙한 곳에서 어깨 동작시 통증을 호소하며
낮은 정도지만 안정 시에도 통증을 호소합니다.
삼각근 전면 부위에 통증유발점이 있는 사람은 손을 입에 닿게 옮길 때나
어깨 높이에서 등에 닿게 할 때와 같이
팔이 수평으로 들어 올리는 것이 어렵습니다.
'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상근, 가시위근(Supraspinatus) (0) | 2023.03.28 |
---|---|
승모근, 등세모근(Trapezius) (0) | 2023.03.26 |
상완이두근, 위팔 두 갈래근 (Biceps Brachii) (0) | 2023.03.23 |
상완삼두근, 위팔세갈래근(Triceps Brachii muscle) (0) | 2023.03.22 |
대흉근, 큰 가슴근(pectoralis major) (0) | 2023.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