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요방형근, 허리 네갈래근 (Quadratus lumborum)

by healthieter 2023. 4. 19.
반응형

근육기원성 요통을 만드는 근육 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무시되는 근육 중 하나이며, 종종 소둔근에 위성 통증유발점을 만들어 "pseudo-disc syndrome"과 "failed surgical back syndrome"을 일으키기도 하는 요방형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부학적 부착

이 근육의 해부학적 부착은 세 군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근섬유 그룹과 방향 이 세 가지로 구별됩니다

1) 밑으로는 장골릉과 장요인대 (iliolumbar ligament)에 부착하고

2) 위로는 12번째 늑골에 부착하는 장늑 섬유(iliocostal fibers)는 거의 수직선 상에 있습니다. 밑으로는 동일한 장골 부착부위에 부착하고 위로는 1, 2, 3, 4번 요추의 횡돌기에 부착하는 장요 섬유(iliolumbar fibers)는 수가 적고 사선을 이루며 iliocostal fibers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습니다.

3) 밑으로는 2, 3, 4번 요추 때로는 5번 요추까지의 횡돌기에 부착하고 위로는 12번째 늑골에 부착하는 요늑섬유(lumbocostal fibers)는 가장 수가 적으며 iliolumbar fibers와 십자형(criss-cross pattern)을 이루며 사선으로 놓여있습니다.

 

신경지배

요방형근은 신경지배는 인접한 흉요추 척추신경(thoracolumbar spnal nerves)에서 나옵니다.

 

기능

한쪽으로만 기능할 때는, 요방형근은 요추의 안정자로써 기능할 수 있으며, hip hiker(엉덩이를 끌어올리는 힘)로, 또 요추의 측굴근으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양쪽이 같이 작용할 때는 요추를 신전시키고, 기침할 때 등에서 강력한 호기 작용을
보조합니다.

 

직립한 사람에서는, 요방형근은 신장성 수축에 의하여 반대쪽으로의 측굴을 제어하도록 기능합니다. 요방형근에 의한 골반 위에서의 요추의 안정은 매우 중요하여, Knapp에 의하면 이 근육의 완전한 양측성 마비는 비록 보조기를 채우더라도 보행이 불가능하게 만듭니다. 이 근육은 흡기와 강한 호기 시 제일 밑의 늑골을 안정시키는 것으로도 생각되고 있습니다.

 

기능 단위

체간의 동측으로의 측굴에 관여하는 근육들은, 그 상대적으로 산출된 효율성의 순서대로 나열하며, 외복사근, 내복사근, 요근(psoas), 척추기립근, 복직근과 회전근들이 있습니다. 광배근도 또한 현저하게 관여할 수도 있습니다. 신전에서는 요방형근은 척추기립근, 다열근, 회전근 및 하후거근에 의하여 도움을 받습니다. 반대편으로의 척추회전에서는 외복사근의 도움을 받습니다.
한쪽 요방형근의 가장 일차적인 길항근은 반대 측의 요방형근입니다. 한쪽 요방형근에 통증유발점이 있어 근섬유가 단축되면 반대 측 요방형근에 과부하로 이차적 병변이 흔히 생기게 됩니다.

 

통증유발점

요방형근에 있는 통증유발점에서 나오는 방사통은 뒤로는 천장관절(SI joint)과 하둔부에 방사되며, 때로는 장골릉을 따라 앞쪽의 인접한 하복부와 서혜부 및 대전자에 방사됩니다. 대전자의 심한 방사 압통은 수면을 방해하기도 합니다.

증상

요방형근의 통증유발점의 특징적인 증상 중 요통이 가장 문제가 된다. 통증이 있는 사람은 잠자리에서 돌아눕지 못하고 똑바로 서거나 걸을 때 참을 수 없는 통증이 생기기도 합니다. 상체의 체중이 요추에 실리지 않게 하는 것은 진통작용을 크게 합니다. 기침이나 재채기는 대단히 고통스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 근육의 근막통증은 요추 기원의 신경근 통증으로 오진되기 쉽습니다.

 

감별진단

흉최장근와 다열근 같은 등에 있는 다른 근육 내의 통증유발점도 역시 둔부와 천장관절로 통증을 방사할 수 있습니다. Iliopsoas 통증유발점은 등을 수평으로 가로지르기보다는 lumbosacral spine을 따라 한쪽의 위아래로 퍼지는 것으로 설명되는 통증과 관련됩니다. Rectus abdominis 하부의 통증유발점은 천장관절 높이에서 수평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묘사되는 양측성 요통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이런 다른 근육의 통증유발점에서 기원된 통증은 요방형근 통증유발점의 통증과 병력, pain pattern, 제한된 동작 및 그 근육의 신체검사에 의하여 반드시 구별되어야 합니다.

 

요방형근 통증유발점에 의해 대전자 부위에 방사되는 통증과 압통은 대전자 점액낭염으로 쉽게 오진될 수 있습니다. 좌골신경 분포지역에 통증을 방사하는 satellite 통증유발점에 의해 만들어진 통증은 원초적인 요방형근 통증유발점에 의해 야기된 통증보다 훨씬 골칫거리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이런 형태의 좌골신경통 또는 pseudo-disc syndrome은 쉽게 S1 신경근병으로 오진됩니다. 이런 좌골신경통 양상의 통증은 다음과 같은 범주가 나타날 때는 소둔근에 생긴 satellite 통증유발점으로 기인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