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골격계 통증 관리

통증의 정의

by healthieter 2023. 10. 8.
반응형

통증은 객관적일까요?

같은 상황에 처해있다면, 모든 이들이 같은 정도의 통증을 느낄까요?

통증은 객관적이지 않습니다.

 

통증은 눈에 보이지도 만져지지도 않으며 실체가 없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죠.

지금도 수많은 사람들은 통증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만약 통증을 없애려고 한다면 통증에 대해 바로 아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통증이란 무엇인가

 

통증 분야에서 세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국제 통증 연구협회(IASP)에서는 통증을 이렇게 정의 합니다.

 

통증이란 실제적이거나 잠재적인 조직 손상과 연관된 불쾌한 감각감정적 경험이다.

 

의학사전에서 찾은 통증의 정의는

통증은 감각 신경에 의해 뇌로 전달되는 불쾌한 느낌이다.

 

레오나르드 먼하임은 통증의 정의를 이렇게 했습니다.

통증이란 유해한 자극에 의해서 발생된 불쾌한 감정으로,
이것은 특화된 신경 네트워크를 통해 통증을 해석하는 뇌로 전달된다.

 

일반인들에게 통증에 대해 물어본다면

대체로 '손상'이라는 단어와 연결지어 설명할 것입니다.

즉, 다쳤으니까 아픈 것이라는 생각을 많이 갖는데,

아무 일도 없었던 어느 날 갑작스러운 순간에 통증이 생기기도 하듯이,

 

통증은 반드시 손상이나 유해한 자극을 동반하지는 않기 때문

손상과 인과적으로 연결짓는다면 정의의 한계가 생깁니다.

 

위의 정의들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었던 단어인

'불쾌한 느낌', '감정'이라는 단어에서 주목할 수 있듯이,

사람은 통증을 느낍니다.

 

한마디로 통증은 객관적인 것이 아니라 주관성이 강한 '느낌'입니다. 

 

그렇다면 통증과 손상의 관계가 어떻게 되는지는

다음 포스팅을 통해 돌아오겠습니다!

반응형